안녕하세요? 뚜이뚜이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손절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.
주식을 매매함에 있어서 100% 승률의 기법은 없습니다.
다만 확률이 높은 방법이 있을 뿐입니다. 아무리 확실하고 기법에 맞는 매수 타점이 왔다고 하더라도 시장의 흐름이 안 좋다면 주가는 하락할 확률이 높습니다.
그런데 시장의 흐름이 좋지 않은데 오직 나만 옳다고 믿고 있다면 큰 손실을 맞이하기 쉽습니다. 주식이 오를 것이라는 강력한 믿음으로 인해 역시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.
또한 대중의 움직임과 언론의 글로 인해 분위기에 휩쓸려 큰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.
위 두 그림을 살펴보면, 대중과 언론에 의한 분위기 조장이 많은 사람들을 힘들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한 때 유행했던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 차트입니다. 초반에 공모해서 또는 주식을 사서 지금도 손실구간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물론 다시 오를 수 있지만 일단 미래는 알 수 없고 고통의 시간을 보내야만 할 것입니다.
위 차트는 진흥기업입니다. 한때 정치테마주로 알려진 주식입니다. 최근에 하락을 했는데 일정한 패턴 없이 바로 하락하였습니다. 아마도 기대감에 주식을 매입했고 손절의 기준이 없었다면 큰 손실이 나왔을 것입니다.
위 그림에서 살펴보았듯이, 주식을 매매함에 있어서 자기만의 손절 기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 그리고 이것은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.
손절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.
1. % 손절 : 일정 %를 정하고 그 % 아래로 내려가면 손절하는 방법입니다. 예를 들어 -5%가 달성되면 이유도 따지지 않고 매도하는 것입니다. 데이트레이딩이라면 짧은 % 기준을, 스윙투자라면 조금 긴 %기준을 설정할 것입니다. 보통 데이트레이딩은 -2~-5% 사이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고 스윙 투자자라면 보통 -7~-10% 정도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2. 비중 조절 손절 : 일정 가격 밑으로 내려가면 물량의 3분의 1이나 반을 매도하는 방법입니다. 즉 정해진 가격 밑으로 내려오면 물량을 줄이는 방법입니다.
3. 차트상의 기준 손절 : 지지선을 깨면 손절, 또는 어떤 이동평균선을 깨면 손절하는 등의 방법입니다.
저는 여기에 추가하여 대중의 관심이 너무 많다면 일단 경계를 합니다. 너무 해당 회사에 대해서 언론에서 칭찬을 하고 있다면 저는 그 주식 종목을 사지 않으려고 합니다.
주식을 매매하다 보면 이익이 날 수도 손해가 날 수도 있습니다. 그런데 손절을 못한다면 이익을 전부 반납할 수도 있습니다. 최대한 손실을 적게 보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. 그러므로 손절은 매우 중요한 매매기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
투자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'주식투자 바로 알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주식차트보는방법] 이동 평균선 주의깊게 보자 (0) | 2021.07.14 |
---|---|
[주식투자방법] 분할매수와 분할매도 (0) | 2021.04.13 |
[주식차트보는방법, 양봉 음봉] 양봉매수? 음봉매수? (0) | 2021.04.07 |
[주식차트보는방법, 눌림목] 이평선 눌림목! 매수포인트 (0) | 2021.04.06 |
[좋은 주식고르기] 부채비율, 유동비율, ROE(자기자본이익률) (0) | 2021.04.05 |
댓글